
평일이 아닌 쉬는 날인 주말에 알바나 투잡을 계획하시는 분들 많은데요. 주말에 투잡하는 경우에도 회사의 겸직 허가를 받아야 하는지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오늘은 주말 투잡의 법적 기준과 기업별 겸직 정책, 실제 징계 사례까지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주요내용
- ✅ 주말 투잡도 겸직 허가 대상일까?
- ✅ 근로기준법상 투잡에 대한 법적 해석
- ✅ 회사 취업규칙에 따라 달라지는 겸직 허가 기준
- ✅ 경쟁업체 겸직 시 징계 가능성
- ✅ 주말 투잡으로 징계받은 실제 사례
- ✅ 겸직 허가가 필요한지 체크하는 방법
주말 투잡도 겸직 허가 대상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회사 내부 규정’에 따라 주말 투잡도 겸직 허가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근무시간 외이더라도 본업에 영향을 미치거나 회사의 명예를 훼손할 소지가 있는 경우는 징계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 ⚠️ 겸직 자체를 금지하거나 승인받도록 명시된 경우
- ⚠️ 체력소모로 인해 본업에 영향이 있을 수 있는 경우
- ⚠️ 동종 업계에서 주말 근무하는 경우
근로기준법상 투잡에 대한 법적 해석
근로기준법은 원칙적으로 근로자의 투잡을 제한하지 않지만, 사용자가 업무에 방해가 되거나 신뢰를 훼손할 경우 일정 제재를 할 수 있도록 해석됩니다. 특히, 기업 내부 규칙이 우선 적용됩니다.
법률 기준 | 내용 |
근로기준법 | 투잡 자체를 금지하지 않음 |
판례·행정해석 | 본업 지장 시 징계 가능 |
회사 취업규칙에 따라 달라지는 겸직 허가 기준
다수 기업은 취업규칙에 겸직 허가 규정을 명시하고 있으며, 겸직 허가 없이 다른 직업을 가지면 징계 사유로 보고 있습니다.
- 📌 사규 또는 취업규칙에 '겸직은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조항 확인 필요
- 📌 외부 강의, 온라인 판매, 유튜브 운영도 포함되는 경우 있음
- 📌 허가 없이 주말 겸업 시 경고, 감봉 등의 징계 사례 존재
경쟁업체 겸직 시 징계 가능성
동종 업계에서 주말 아르바이트나 프리랜서 활동을 하는 경우, 경쟁사 활동으로 간주되어 가장 큰 징계 위험이 따릅니다.
겸직 형태 | 징계 가능성 |
비경쟁 업종 (배달, 강사 등) | 낮음 (단, 허가 필요) |
동종 경쟁업체 근무 | 높음 (중징계 가능) |
주말 투잡으로 징계받은 실제 사례
주말에 투잡을 했더라도 본업에 영향을 미치거나 회사의 규정을 어긴 경우 다음과 같은 징계 사례가 있었습니다.
- 📄 제조업체 직원, 주말에 배달일 → 회사 승인 없이 진행해 견책
- 📄 금융사 직원, 주말에 강사 활동 → 사전 신고 없었다는 이유로 감봉
- 📄 IT기업 개발자, 동종 스타트업에 참여 → 해고 정당 판결
겸직 허가가 필요한지 체크하는 방법
주말 투잡을 고민 중이라면 아래와 같은 항목을 사전에 점검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 회사 취업규칙 또는 인사규정에 겸직 금지 조항이 있는가?
- ✔️ 겸직 활동이 본업에 영향을 미치는가?
- ✔️ 해당 투잡이 경쟁업체와 관련된가?
- ✔️ 상급자 또는 인사부서에 사전 신고가 필요한가?
마치며
주말 투잡도 단순히 근무시간 외 활동이라는 이유만으로 자유롭게 허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회사의 취업규칙, 직종의 특성, 경쟁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사전에 겸직 허가를 받는 것이 불이익을 피하는 길입니다.
'인사노무정보 > 이슈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MZ세대 직원 제가요 대처 교육 방법 총정리 (0) | 2025.05.01 |
---|---|
회사 동료나 상사가 고백했을 때 대처 방법 총정리 (1) | 2025.04.30 |
회사 다니면서 무인점포 운영하는 것도 겸직 허가를 받아야 할까? (1) | 2025.04.24 |
회사에서 월급 잘못 줬다고 다음 달 월급에서 공제 할 수 있을까? (0) | 2025.04.21 |
근무시간 외에 하는 투잡 겸업도 징계 대상이 될까? (1) | 2025.04.17 |
근무시간 중 잠시 자리를 비우는 것도 징계 대상이 될 수 있을까? (0) | 2025.04.15 |
이노무사의 노무꿀팁 열람소입니다.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노무 관련 판례, 법령(노동법, 근로기준법), 자주 묻는 질문 등을 알려드립니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