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사노무정보/자주묻는질문2024. 11. 4. 23:04퇴사 후 연차수당 청구할 수 있나요 소멸시효 기간 3년

일을 하다보면 바쁜 업무에 써야하는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하고 날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연차수당으로도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인데요. 계약만료, 사직, 해고 등 회사를 퇴사한 후에 미처 쓰지 못한 휴가에 대한 미사용 연차수당을 청구해서 받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퇴사 후 미사용 연차수당을 청구할 수 있는지, 언제까지 신고할 수 있는지 그 소멸시효 기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차수당 뜻연차수당이란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사용자가 1달 이상 만근한 근로자에게 부여해야 하는 연차유급휴가를 정해지 기간 내에 근로자가 업무상 사유로 소진하지 못한 경우, 그 미사용 휴가일수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급 당시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수당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근로자에게 미사..

인사노무정보/자주묻는질문2024. 10. 28. 22:50퇴사 후에 임금체불 신고할 수 있나요? 소멸시효 기한 언제

근로자라면 실제 근무시간을 초과해서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를 하고서도 수당을 못 받는 경우를 많이 경험해 보셨을 텐데요. 계약만료, 사직, 해고 등 회사를 퇴사한 후에 임금체불을 신고할지 고민하시는 분들 많습니다. 오늘은 퇴사 후에 임금체불을 신고할 수 있는지, 언제까지 신고할 수 있는지 그 소멸시효 기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금체불 뜻임금체불이란 사용자가 근로의 대가로서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하는 임금, 보상금, 수당, 그 밖의 모든 금품을 직접 근로자에게 일부 또는 전액 지급하지 않는 행위를 말합니다. 특히 사용자는 근로계약 도중뿐만 아니라 근로자가 퇴사하였을 때 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등 모든 금품을 지급해야 하는데요. 임금체불로 신고되는 가장 많은 유형으로 퇴직금 이외에 ..

image